반응형 전체 글375 방주(ark) 방주(ark)는 관 혹은 상자를 뜻하는 애굽어에서 파생된 말인 듯하며, 노아의 가족과 짐승들을 태우기 위해 고안된 거대한 용기를 가리킨다(창 6,7장). 창 6:14/ 너는 잣나무로 너를 위하여 방주를 짓되 그 안에 간들을 막고 역청으로 그 안팎에 칠하라 방주의 치수는 150x5x15m였고 잣나무와 갈대로 만든 뒤 역청으로 덮었다. 1규빗을 45.6cm로 계산할 때 방주의 규모는 길이 약 137cm, 배수량 약 20,000t이 된다(11-22절 강해). 따라서 한때 세계 최고의 항공모함으로 그 위용을 자랑하던 '엔터프라이즈호'가 길이 317cm, 배수량 75,700t이었다는 점에 비추어 보면 다음과 같은 의문이 생길 수 있다. 즉 당시 선박 건조술이 발달치 못하였고 동원 인력수도 8명(18절)에 불과하였.. 2024. 1. 9. 버가(Perga) 버가(Perga)는 루기아와 길리기아 사이에 있는 소아시아 남쪽의 해안 지역. 사도 바울의 1차 전도여행과 관련하여 행 13:13;14:24;15:38에 언급되었다. 행 13:13-14/ 바울과 및 동행하는 사람들이 바보에서 배 타고 밤빌리아에 있는 버가에 이르니 요한은 저희에게서 떠나 예루살렘으로 돌아가고 저희는 버가로부터 지나 비시디아 안디옥에 이르러 안식일에 회당에 들어가 앉으니라 "밤빌리아에 있는 버가, 구브로 섬을 떠나 바울 일행이 두번째로 찾은 밤빌리아는 지중해 북단에 있는 소아시아의 남쯤 해안에 접한 지역이다. 해안의 길이가 120km이며 내륙쪽으로 폭이 48km 정도의 이 지역은 동편에는 길리기아, 서쪽에는 루기아, 북쪽에는 비시디아가 인접해 있다. 그리고 버가는 밤빌리아의 중심 도시로 해.. 2023. 12. 27. 비시디아 안디옥(Antioch in Pisidia) 비시디아 안디옥(Antioch in Pisidia)은 안디옥 교회가 있는 수리아 안디옥(Antioch of Syria)과 구별되는 곳으로(11:27) 해발 약 100m에 달하는 고원지대이다. 오늘날의 터키 중남부 지방의 얄바크(Yalvach) 근처의 폐허 지역을 말하며 당시에 이곳은 로마의 식민지였다. 바울은 3 차전도 여행때에도 이곳을 들르게 된다(18:23). 회당에 들어가 앉으니라 - 셀류쿠스 왕조 때 상당수의 유대인들이 거주했으므로 유대인들을 위한 회당이있었다. 따라서 바울 일행은 안식일에 회당에서 거행되는 예배에 참여한 것으로 보인다. 구브로나 이곳에서도 바울 일행이 회당올 먼저 찾은것은 이방 땅에서 동족에 대한 친밀감을 소중하게 생각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를 통해 이방 선교 이전.. 2023. 12. 27. 발람(Balaam) '발람'의 이름 뜻은 '백성을 멸망시키는 자', '탐닉자'이다. 그는 여러 차례 하나님의 제재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물질의 탐욕에 못이겨 모압 왕 발락의 요청을 받고 결국 이스라엘을 음행의 꾀로 멸망시킨 자이다. 따라서 이러한 그의 행동은 그의 이름 뜻과 잘 합치한다. 브올의 아들 발람은 이스라엘을 저주하였으나 하나님은 그의 저주를 복이 되게 하셨다. 일찍이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에게 주셨던 약속에 근거한 행위이다(창12:2). 즉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로 하여금 큰 민족이 되게 하시겠다는 약속을 성취시키기 위하여 그들에게 닥치는 어떠한 위해(危害)도 마침내 유익된 것으로 바꾸어 주신 것이다. 이러한 역사는 오늘날 성도들에게도 그대로 적용되는데, 곧 하나님의 뜻대로 부르심을 입은 자들에게는 모든 것이 합력하.. 2023. 12. 27. 성경속 발에 대한 비유 신구약 모두에서 발은 흔히 어떤 사람의 행실 및 그 행실을 돌보시는 하나님의 배려를 묘사할 때 사용되었는데, 하나님이 '그들의 발을 인도하신다'는 표현이 바로 그 것이다(잠 6:18;눅 1:79). 잠 6:16 , 18/ 여호와의 미워하시는 것 곧 그 마음에 싫어하시는 것이 육 칠 가지니 악한 계교를 꾀하는 마음과 빨리 악으로 달려가는 발과 발 아래 둔다는 것은 패배시키는 것을 상징하며(고전 15:25), 발 앞에 엎드리는 것은 경의를 표하는 상징적 행동이었다(삼상 25:41). 고전 15:25/ 저가 모든 원수를 그 발아래 둘 때까지 불가불 왕노릇 하시리니 삼상 25:41/ 그가 일어나 몸을 굽혀 얼굴을 땅에 대고 가로되 내 주의 여종은 내 주의 사환들의 발 씻길 종이니이다 하고 발앞에 앉는다는 것은 .. 2023. 12. 27. 기독교의 박해 박해, 이것은 초기 그리스도인들에게는 전혀 새로운 것이 아니었는데, 그것은 유대적 유산의 일부였기 때문이다. 개인적인 죽음으로 순교자가 되겠다는 것은 로마에 대한 유대인들의 지배적인 생각이었다. 유대인들은 그리스도인들을 공적으로는 용납했다. 그러나 그들의 응집력, 비협조, 불가사의한 재정적 성공으로 인해 그들의 증오와 박해가 간헐적으로 확산되었다. 즉 그리스도인들에 대한 박해는 먼저 유대인들에게서 시작되었다. 스데반 이후로 시작된 처음 박해는 헛된 것이었다(행 6:14;8:16). AD 44년에 야고보는 헤롯 아그립바에 의해 처형당했고(행 12:1,2), AD 80년에 그리스도인들은 유대인들에게 공적으로 추방되었다. 바울은 자신의 선교 여행에 대한 유대 지도자들의 방해를 계속 극복했다. 처음에 로마의 권.. 2023. 12. 26. 바알세붑,바알세불(Baal-zebub) 바알세붑(Baal-zebub, '파리 대왕') 구약에서는 에그론의 신(왕하 1:1이하)으로, 신약에서는 귀신들의 왕으로 사단(예. 마 12:24이하)과 동일하게 취급된다. '바알세붑'(Baal-zebub)에서 '바알'은 '주'(Lord), '소유주', '남편' 등을 의미하며, '세붑'(제붑)은 '파리, 날벌레'라는 뜻이다(사7:18;전 10:1). 그러므로 '바알세붑'은 '파리의 주', '날벌레의 주'라는 뜻이 된다. 혹자(G. Rawlinson)는 '바알세붑'을 '베엘 사멘'(Beel-Samen)과 동일한 신으로도 보았다. '바엘 사멘'은 베니게인(Phoenician)들이 섬기던 '하늘의 주'이다(Pulpit Commintary). 그러나 이것은 어원적인 자료의 지지를 받지 못한다. 그런데 70인역(L.. 2023. 12. 14. 바알브릿(Baalberith) 바알브릿(Baalberith, '계약의 주님') 세겜에서 경배 받던 가나안족의 신이다. 바알브릿 구약시대 당시 세겜지역에 존속했던 가나안인들의 바알 신이다. 그뜻은 '언약의 바알'로 곧 이스라엘 백성이 여호와 하나님과의 언약을 버리고 바알과 언약을 맺었음을 보여 준다. 즉 이것은 당시 이스라엘 백성이 바알을 매우 열렬히 숭배했음을 가리킨다. 삿 8:33-35/ 기드온이 이미 죽으매 이스라엘 자손이 돌이켜 바알들을 음란하게 위하고 또 바알브릿을 자기들의 신으로 삼고 사면 모든 대적의 손에서 자기들을 건져내신 여호와 자기들의 하나님을 기억지 아니하며 또 여룹바알이라 하는 기드온의 이스라엘에게 베푼 모든 은혜를 따라서 그의 집을 후대치도 아니하였더라 한편 '바알브릿'은 '엘브릿'(언약의 엘, 또는 언약의 하나.. 2023. 12. 14. 바알(Baal) 바알(Baal)은 하닷의 구약 이름으로, 이교의 폭풍우 신이다. 지역적인 바알들은 이 바알과 구별되었을 것이며, 엘리야가 갈멜 산에서 대결했던 바알은 두로의 신 멜카르트였을 것이다(왕상 18장). 라스 삼라에서 발견된 사본은 바알은, 다곤이 아스다롯과 아세라를 배우자로 삼아 낳은 아들로 언급하고 있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하나님을 다른 뜻 없이 '주인'이나 '남편'을 의미하는 '바알'로 불렀는데, 이는 자연히 혼동을 일으키게 되었다. 호 2:16은 대안으로 하나님을 '내 남편'으로 부르도록 제안한다. 호 2:16/ 여호와께서 이르시되 그 날에 네가 나를 내 남편이라 일컫고 다시는 내 바알이라 일컫지 아니하리라 2023. 12. 13. 엣 바알(Ethbaal) "엣 바알"은 "바알이 그와 함께 있다"는 뜻이다. 엣바알(Ethball)은 원래 아스다롯 신전의 제사장이었는데 펠레스(Phe;es) 왕 (히람의 후손)을 살해하고 왕위를 찬탈하였다(Comey, Keil & Delitzsch Commentary, Vol. Ⅲ, p.228). 전하는 바에 따르면 그는 32년간 통치 하다가 68세에 죽은 것으로 되어 있다. 한편 이세벨의 극성스럽고 잔인한 성품(19:2)은 이러한 부친에게서 물려받은 것으로 짐작된다. 2023. 12. 13. 이세벨(Jezebel) 이세벨(Jezebel)이란 이름의 정확한 뜻은 모르나 우가릿 본문(Ugarit text)을 참조할 때 바알을 가리키는 "즈볼"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엣바알의 딸 이세벨은 두 가지 특징이 두드러진 인물이다. 즉 전제 군주적 권력욕이 대단함과 동시에 바알 숭배에 극성스러우리만치 충성했다는 점이다(Harver). 그런데 이러한 특성은 유다 왕 여호람과 혼인하여 훗날 남왕국의 여왕이 된 이세벨의 딸 아달랴(Athaliah)에게도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왕하 8:18). 왕상 16:31-32/ 느밧의 아들 여로보암의 죄를 따라 행하는 것을 오히려 가볍게 여기며 시돈 사람의 왕 엣바알의 딸 이세벨로 아내를 삼고 가서 바알을 섬겨 숭배하고 사마리아에 건축한 바알의 사당 속에 바알을 위하여 단을 쌓으며... 2023. 12. 13. 라마(Ramah) '라마'는 '높음'이라는 뜻이다. 오늘날 '엘람'(er-Ram)으로 불려지고 있는데 본래 베냐민 지파의 성읍으로서 남북 왕국 국경의 주요 분쟁 지역에 속한다. 그런데 바아사는 이곳에 요새를 건축하여 남왕국을 압박하였다. 이로 보아 바아사는 이전에 에브라임 북방 여사나까지 밀렸던 영토를 거의 회복한 듯하다. 왕상 15:17/ 이스라엘 왕 바아사가 유다를 치러 올라와서 라마를 건축하여 사람을 유다 왕 아사에게 왕래하지 못하게 하려한지라 본절에는 이스라엘 왕 바아사가 유다 침공 원인이 밝혀져 있다. 라마는 원래 베냐민 지파의 성읍으로서(수 18:25) 예루살렘 북방 약 6Km 지점에 위치하였다. 따라서 바아사는 이곳을 점령함으로써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하고자 했던 것같다. (1) 백성들의 남하(南下) 제지:하나.. 2023. 12. 11. 이전 1 2 3 4 5 6 ··· 32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