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375

데오빌로 각하(κράτιστε Θεόφιλε 크라티스테 데오필레) 누가가 기록한 두 책(본서, 사도행전)의 수신자로 명시되고 있는 데오빌로(Θεόφιλε)가 누구인지 전하는 바가 별로 없다. 혹자에 따르면 누가가 자신의 수신인의 진짜 이름 대신 가명으로 사용한 것이거나 또는 상징적인 이름이라 보기도 한다. 또 다른 견해로는 그가 도미티안 황제의 조카로서 상속인이었던 클레멘스(Titus Flavius Clemens)였을 것으로도 추정한다(Streeter). 그렇게 되면 이 데오빌로라는 이름은 가명이 되고 만다. 그러나 '데오빌로'는 하나의 고유명사(a proper name)이며 특히 누가가 그의 이름에 붙여 사용하는 '각하'라는 명칭을 통해 볼 때 그가 실재(實在)한 로마의 고위 공직자였을 것이라 단정할 수 있다. 그런 맥락에서 리펠드(Liefeld)는 데오빌로가 누가의.. 2022. 12. 26.
아셀 지파 비누엘의 딸 안나라 하는 선지자 같은 문맥에 등장하는 시므온의 소개와는 달리 안나의 경우는 지파명까기 상세하게 소개되고 있다. 시므온의 경우는 구체적인 신분을 확인할 수가 없었으나 안나는 삶의 배경이 기술되었다. 아셀은 야곱의 여덟번째 아들이었다(창 30:13). 예수 탄생 당시는 이스라엘 민족이 주로 유다 지파와 베냐민 지파로 구성되어 있어 나머지 10지파의 행방은 불투명했다. 이는 바벧론 포로지로부터 귀환(歸還)한 자들 중 거의가 이 두 지파에 속한사람들이었던 연유도 있겠는데, 안나도 바로 다른 지파에 속한 소수의 사람들 중의 하나였다. 이들 가운데서 어떤 사람들은 개인적으로 자신들의 족보를 보관하고 그 잃어버린 지파백성의 후손을 찾아내기도 하였다. 한편 '바누엘'은 야곱이 얍복 강가에서 하나님의 천사와 씨름하여 '이스라엘'이란 이.. 2022. 12. 26.
성경이 말하는 마음 '마음'이라는 단어는 신 4:11;마12:40에서처럼 가끔 비유적으로 사용되어 '중심'을 의미한다. 이 말이 신체 기관을 가리키는 경우는 드물며 삼상 25:37에서 가장 명백하게 드러난다. "아침에 나발이 포도주가 깬 후에 그 아내가 그에게 이 일을 고하매 그가 낙담(his heart died)하여 몸이 돌과 같이 되었더니"(삼상 25:37) 일반적으로 '마음'은 한 사람 전체를 통제하는 중심을 의미한다(참고. 잠 4:23). "무릇 지킬만한 것보다 더욱 네 마음을 지키라 생명의 근원이 이에서 남이니라"(잠 4:23) 성격, 인격, 의지와 지성 등과 같은 현대적 개념들 모두가 이 말 속에 내포되어 있다. 신약상의 용례도 이와 유사하다. 곧 신약에서 마음은 의지(막 3:5), 지성(막 2:6), 정서(눅 .. 2022. 12. 26.
마리아의 찬가 누가복음 1장 46-55절까지는 '마리아의 찬가'라고 이미 알려져 있다. 이는 '매그니피캣'(Magnificat)이라고 불리우기도 하는데 그 이유는 라틴어역 성경에서 이 시의 앞 부분 첫단어로서 이 말이 사용되었기 때문이다. 이 시는 삼상 2:1-10의 한나의 기도를 떠 올리게 한다. ☆ 한나의 찬가/ https://mybiblenotes.tistory.com/m/747 한나의 찬가 한나의 기도는 '내 마음니...'(삼무엘상 2장 1절)부터 '...뿔을 높이시리로다'(10절)까지 이어진다. 진정 '마음이 슬픈 여자'(1:15)의 기도를 기억하사 아들을 허락하신 여호와께 자기 아들을 영영히 mybiblenotes.tistory.com 한편 플루머(Plummer)는 이 시를 한나의 시와 그 외에 다른 12개.. 2022. 12. 26.
성경의 마리아(6명의 마리아) 마리아란 이름을 가진 사람은 신약에 여섯 명이 있다. 1. 예수님의 어머니. 그녀는 나사렛에서 살았으며, 목수 요셉과 약혼한 기간에 예수님을 잉태하였다. 그녀는 다윗 가문 출신으로, 눅 3장의 족보와 관련이 있다. 그녀는 잉태한 후에 사촌 엘리사벳을 방문하였는데, 엘리사벳은 그녀를 '내 주의 모친'이라고 불렀으며, 이에 대해 마리아는 찬양의 노래로 화답했다(눅 1:39이하). ¤ 마리아의 찬가 링크 그녀는 가나의 결혼식에서 예수님과 함께 있었고(요 2장), 아마 다른 때에도 그러했던 것 같으며(참고. 막 3:31이하), 예수님이 십자가에 못박히실 때에 그 가까이에 있었다(요 19:25). 예수님의 승천 후에 그녀는 마가의 다락방에서 예수님의 제자들과 함께 기도하였다(행 1:14). 그 외 신약에서는 그녀.. 2022. 12. 26.
파피루스와 성경 파피루스는 큰 수생 식물의 이름인데 주로 종이처럼 글을 쓸 때 사용되었다. 고대에는 이집트 전역의 습지와 호수에서 자랐지만(참고. 욥 8:11), 오늘날에는 수단의 북쪽 어느 곳에서도 찾아보기가 힘들다. 3-6m까지 자라며 끝에는 종 모양의 아름다운 꽃이 핀다. 이것은 갈대 배와 바구니(출 2:3; 사 18:2), 샌들, 올, 밧주을 만들 때 사용되었으며, 그 뿌리는 가난한 사람들의 음식이 되기도 했다. 종이를 만들려면, 안쪽의 줄기를 길고 가늘게 잘라 판자 위에 놓고 그 위의 다른 줄기를 가로질러 놓는다. 그리고 이것을 나무 망치로 두들겨 밀착시킨다. 이렇게 약간 흰식의 종이가 만들어지면 끝과 끝을 연결하여 파피루스 두루마리를 만든다. 보통파피루스 두루마리는 20장의 종이가 연결된 것인데, 가장 긴 것.. 2022. 12. 25.
팔레스틴(팔레스타인) 팔레스타인(아랍어: فلسطين 필라스틴 / 히브리어: פלשתינה 팔레스티나)은 지중해와 요단강(요르단강) 사이에 있는 지역 명칭으로 성경 역사의 중심지이다. 일찍이 헤로도트스는 시라아 남부를 가리키는 명칭으로 사용했다. 옛 명칭 가나안은 요단 서쪽의 모든 땅을 가리켜 사용되었다. 그리고 '거룩한 땅'이란 용어는 중세 때부터 사용되었다(참고. 슥 2;12). 예루살렘이 세상의 중심이라는 중세의 신앙은 그리 불합리한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지중해, 흑해, 카스피 해, 홍해 그리고 페르시아 만으로 경계가 형성되어 있는, 그 가느다란 시라아 회랑지대(내륙에서 항구 따위로 통하는 좁고 긴지형)가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 등 모든 중요한 국제적 대륙간의 통로를 연결하고 있기 때문이다. 고대에 남과 북을 연결하.. 2022. 12. 25.
할례를 받으라...양피를 베어라(창 17:10) 남자 성기(性器)의 표피 윗부분을 제거하는 할례 의식은 당시 이미 중동 지역에 널리 퍼진 성년 의식이었다. 즉 양피를 제거하는 이러한 의식은 아브라함의 직계 자손들만이 아니라 이스마엘 족속, 에돔 족속, 암몬 족속 그리고 애굽인들도 이를 시행하였는데 아마 암몬 족속같은 경우는 아브라함의 조카 롯으로 부터 배웠을 것이다. 특히 오늘날의 탐사 결과에 의하면 이러한 의식이 페니키아인들, 아프리카와 남아메리카 그리고 남태평양 군도 등의 여러 부족사이에서도 행해졌다는 것이 판명되고 있다. 그러나 하나님께서는 아브라함과의 언약에 관련하여 이러한 의식에 특별한 종교적 의미를 부여하셨는데 그것은 (1)옛 사람을 벗어버리고육신적인 죄와 부정을 떨쳐 버린다는 정결 의식의 상징적 표현이며(Calvin) (2) 거듭난 새 생.. 2022. 12. 25.
페니키아(베니아인) 성경에는 베니아인이라 언급되었다. 지중해 연안 동부에 있는 지역(지금의 레바논)과 그 곳에 사는 거주자들을 말한다. 구약에서 히브리인들은 이 지역을 '가나안'이라 불렀는데(사 23;11), 실제로는 두로와 시돈 같은 주요 성읍들을 가리킨다. 고대의 역사가 헤로도투스는 그들이 페르시아 만에서 왔다고 말하기는 했지만, 해상 여행을 하는 페니키아인들의 역사는 분명하지 않다. 페니키아인은 BC 18세기에 방어에 유리한 지중해 연안 동족의 자연 항구에 정착했다. 그들은 해양족(블레셋 사람)의 연안 으로 좀더 내려가서 정착할 때까지 애굽의 지배하에 있었다. 이 때부터 두로는 페니키아의 주요 항구가 되었다. 다윗과 솔로몬은 두로 왕 하람과 상업상의 관계를 맺었으며(삼하 5;11; 왕상 5:1이하), 하람은 또한 배와.. 2022. 12. 25.
더러운 일 '더러운 일'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닛다 נדּה'는 '멀리 던져버리다'란 뜻의 '나다드'에서 유래한 말로 이스라엘 중에서 멀리 내던져 버려야할 가증스런 죄악을 가리킨다(스 9:11). 스 9:11/ 전에 주께서 주의 종 선지자들로 명하여 이르시되 너희가 가서 얻으려하는 땅은 더러운 땅이니 이는 이방 백성들이 더럽고 가증한 일을 행하여 이 가에서 저 가까지 그 더러움으로 채웠음이라 여기에는 가나안 족속들이 자신들의 땅에서 쫓겨나게 된 이유와 더불어 이스라엘백성을 향한 준엄한 경고가 언급되어 있다. 가나안 족속이 그 땅에서 쫓겨난 이유는 결코 가나안 족속을 향한 하나님의 이유 없는 증오나 혹은 이스라엘 백성을 향한 하나님의 맹목적인 편애 때문이 아니라, 바로 가나안 족속의 관영한 범죄 때문이었다. 이는 이.. 2022. 12. 25.
몰렉 유아 인신 제사로 유명한 암몬 족속의 가증한 우상 '몰렉'(Molech)은 소머리 형상과 사람의 몸의 형상이 합쳐진 청동 우상으로서 가나안 땅에들어와 크게 확산된 우상이다. 따라서 후일 그곳에 정착한 이스라엘 백성들에게도 심각한 영향을 미쳤는데, 유다 왕국 후기에 이르러서는 선지자들의 주된 경고 대상이 되었다(사57:9;렘32:35). 이 몰렉 신은 두 팔을 앞으로 쭉 펴고 있는데, 이는 희생 제물로 바쳐진 아이를 받기 위한 것이다. 한편, 제의(祭義)시 유이를 몰렉에게 희생 제물로 바치는 방법은 다음 세 가지이다. 첫째, 살아있는 아이를 불에 달아오른 몰렉의 팔에 얹었다가 불타는 함정에 빠뜨리는 법, 둘째, 아이를 먼저 죽여서 몰렉에게 제물로주는 법. 세째, 아이를 불타고 있는 몰렉의 양 팔 사이로 지.. 2022. 12. 25.
젖과 꿀이 흐르는 땅 출 3:8에서 가나안 땅은 '아름답고 광대한 땅, 젖과 꿀이 흐르는 땅'으로 묘사되어 있다.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은 출 3:8에서 처음 사용된 후 가나안의 별칭으로 자주 사용된 말이다(민 13:27;신 26:9, 15;31:20;렘11:5;32:22;겔 20:6). 이는 비유적으로 토지가 비옥한 것을 의미한다. 결국 토지의 비옥함은 소산물의 풍성함을, 더 나아가 풍요롭고 안정된 생활을 뜻한다. 여기서 젖은 '우유', '버터'를 뜻하는 '하라브(חלב)'인데, 이는 소와 양을 많이 기를 수 있는 풍요한 목초와 물이 있는 복스러운 땅을 암시한다. 또한 꿀은 '꿀 같이 접착성이 있는 액체', '당밀'등을 뜻하는 '디바쉬(דּבשׁ)'인데, 이는 꿀을 만드는 벌들이 많이 살 수 있는 곳, 즉 꽃과 화초가 많.. 2022. 12. 25.
728x90
반응형